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 후속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당·정 협의회를 열었습니다. 오늘 회의에서 당·정은 고용주 지원책과 카드 수수료 인하 등 최저임금 인상을 보완할 방안을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현장화면 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 />말씀드리기 전에 언론인들이 아마 일찍 나오셔서 오늘 일찍 퇴근하십니까? 아마 해야 될 것 같은데. 회의를 일찍하면 고민됩니다. 언론인들이 일찍 나오셔야 되기 때문에 요즘에 저 같은 경우에는 일요일날은 제가 일정을 일부러 안 잡는 이유가 52시간을 철저히 지키려고 그러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. 오늘 일찍들 퇴근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우리 경제 여건이 좋지 않습니다. 고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중 무역전쟁까지 겹치면서 내수와 수출이 동반 부진을 겪고 있습니다. 당정이 정말 비상한 각오로 임해야 할 때입니다. <br /> <br />집권 2년 차를 맞아 경제와 민생을 반드시 살리겠다는 절박감을 갖고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 그런 점에서 오늘 회의는 하반기 우리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해법을 찾는 자리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문재인 대통령께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입장을 밝히셨습니다.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 원이라는 목표 달성이 현실적으로 어려워진 데 대해서 사과의 말씀을 하셨습니다. 우리 당도 무거운 책임감을 느낍니다. <br /> <br />내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노사 모두가 반발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. 그러나 대통령의 말씀처럼 최저임금 인상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려는 소득주도성장과 포용적 성장의 하나의 정책 수단일 뿐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소득주도성장과 포용적 성장을 통해 우리 경제가 최저임금을 감당할 수 있는 경제 구조를 만들어가는 과정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경제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서 임금 인상만을 요구하거나 마치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실패한 것처럼 비판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습니다. 이제 소득주도성장과 포용적 성장을 구체적이고 치밀하게 추진해 나가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일관되게 나가야 합니다. 이해 당사자들의 반발이 있지만 최저임금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의 소득을 높여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효과가 분명히 있습니다. 그렇다면 정부가 주도적으로 이해 당사자들을 노동계, 자영업자, 소상공인 등 이해 당사자들을 설득하고 이해시켜야 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최저임금 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71707150952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